1. 기초통계
대상인원: 126명
참여인원: 124명(1명은 부정행위로 F처리)
배점 | 평균 | 표준편차 | 최대값 | 중앙값 | 최소값 |
100 | 56.66 | 32.89 | 100 | 50 | 0 |
만점자: 문주민(건축학전공), 정상헌, 최무승, 박강원, 우승재, 박세진, 김상헌, 김건, 소현송, 김도균, 마주현, 정찬우, 이금비, 송예빈, 정연주, 이은수, 김민정, 이채원, 김현지, 신차희, 박영은, 윤승효(이상 경제금융전공), 홍수현, 김지훈(이상 경영학과), 정진홍(무역학전공)으로 총 25명! 축하합니다!
2. 채점기준
Problem 1. 연습문제 중 문제 10의 (6)과 동일한 문제입니다. 풀이와 답이 모두 정확해야 정답으로 처리했습니다. 대표적인 오답으로는 아래와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1) 정답은 맞는데 풀이가 너무 부실해서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경우.
(2) 2개 개별자산과 1개 포트폴리오에 대해서 효용을 모두 구해서 비교해서 가장 큰 효용값을 적어야 하는데 포트폴리오의 효용만 구한 경우. 이건 아마도 문제 맨 마지막 문장을 잘못 읽어서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3) 3가지 경우의 효용을 다 구해놓고는 엉뚱한 걸 선택한 경우. 이 경우는 아마도 음수의 대소관계를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2와 -1 중에 -2가 크다고 생각하는 모양입니다.
Problem 2. 연습문제 중 문제 3의 (2)와 동일한 문제입니다. 공식에 대입해서 계산하면 되는데 의외로 틀린 사람이 많네요.
Problem 3. 그림 3개의 번호를 적으면 되는 건데, 엉뚱한 번호를 적거나 3개를 넘어서서 쓸데없는 다른 그림까지 함께 적어둔 경우 오답으로 처리하였습니다. 사족이랄까? 0점 방지문제 개념으로 낸 건데 생각보다 이것도 틀린 학생이 많습니다.
Problem 4. 연습문제 중 문제 11의 (4)와 동일한 문제입니다. 풀이와 답이 모두 정확해야 정답입니다. 정답은 맞는데 풀이가 부실해서 오답으로 처리된 학생이 좀 됩니다.
Problem 5. 교재 본문 중 예시 4의 (5)와 맥락만 다를 뿐 똑같은 방식으로 풀리는 문제입니다. 이것도 정답은 맞는데 풀이가 부실하거나 없어서 오답으로 처리된 학생이 좀 있습니다.
3. 총평
내 기억에 교재의 연습문제를 변형도 없이 그대로 출제한 최초의 사례가 아닌가 싶습니다. 학생들이 공부할 때 연습문제를 얼마나 풀어보는지 알아보고 싶었거든요. 생각보다 성적이 양극화되어 나타나네요. 다시 말해서, 공부하는 소수의 학생들을 빼고는 대체로 시험 대비해서 아주 초보적인 공부도 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었던 시험이었습니다. 시험범위 안의 연습문제를 다 풀어본 학생이라면 너무나도 쉽게 100점을 맞을 수 있는 시험이었으니까요. 이렇게 쉽게 문제를 내도 평균이 70점이 되지 않는군요. 그래도 100점 맞은 학생이 25명이나 된다는 점이 위안이 되네요. 중간고사는 쉽게 냈으니 기말고사는 조금 더 난이도를 높일지 아니면 중간고사처럼 쉽게 낼지 고민 중입니다. 설마 또 연습문제를 그대로 낼까요? 나도 모름.
수업시간에 문제 풀어줄 필요가 있을지 고민인데... 여하튼 수업시간에 봅시다. 고생했습니다.
PS - (1) 시험 시작하자마자 학생 1명이 스프링 제본한 책에 인덱스를 많이도 붙여서 보면서 시험을 치르고 있더군요. 시험 전에 이런 경우 F처리한다고 경고했고 오늘 현장에서도 책에 뭐 붙여놓은 거 있으면 다 떼라고 안내했는데... 도대체 얼마나 내 말을 안 듣는 겁니까? 휴... 해당 학생은 현장에서 F학점 처리되었습니다. 기말고사에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시다.
(2) 감독할 때 보니까, 책 없이 오픈북 시험 보는 학생이 서넛 되고, 심지어 책은 물론 계산기도 없이 앉아 있는 학생도 있더군요. 총과 총알도 없이 참전하는 용기? 그 용기에 박수를 보냅니다.
(3) 에브리타임에 이런 글이 있던데, 본인 생각보다 성적이 안 나왔나 봐요. 이해불가라 하던데 이해시켜 줄게요.

풀이과정이 부실한 경우는 최소한의 설명도 없어서 뭘 어떻게 계산했다는 건지 도무지 알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마지막 문제에서 아예 풀이과정을 공백으로 비워 놓은 경우라던지, 첫 번째 문제나 4번째 문제에서 문자 B에 도대체 뭘 저장해 놨다가 다음 단계에서 쓰는 건지 명시를 안 해놨다던지, 방정식을 푸는데 이게 어디서 비롯된 식인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다던지, 혹은 기대수익률이 서로 같다고 써야 할 부분에 그냥 두 수익률이 서로 같다고 써놔서 수학적으로 틀린 서술을 해놓았다던지 등 문제 푸는 본인만 알 수 있고 다른 사람이 읽었을 때 무슨 말인지 모르도록 혹은 다른 사람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도록 써놓은 경우입니다. 평균, 표준편차 계산식 같은 거 쓰라는 게 아닙니다. x bar를 A에 저장했다는 걸 알 수 있을 정도는 써줘야 한다는 겁니다. 웬만큼 식을 날려 쓰거나 생략해도 최대한 유추해서 알아볼 수 있으면 정답으로 인정해 줬습니다만 너무 심각해서 유추도 안 될 정도거나 핵심적인 식이 아예 전혀 없거나 식에 심각한 오류가 있어서 사실일 수 없는 경우에는 도저히 문제풀이로 봐줄 수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가 풀이과정이 부실한 경우입니다. 나한테 직접 찾아와서 본인 시험지 확인해 보면 저런 감정적인 글 쓴 거 매우 부끄러워질 겁니다.
그리고 에브리타임에 저런 글 쓰면 무슨 도움이 됩니까? 익명성 뒤에 숨은 뒷담화입니까? 나는 학생이 아니라서 에브리타임 글 자세히 읽을 수는 없지만 저기까지만 봐도 기분이 나쁘네.
더 구체적으로 부실함을 정의해 줄게요. 모범답안이 정말 최소한의 풀이과정만 담은 답안입니다. 모범답안 풀이과정에서 설명이나 수식이 하나라도 빠지면 부실한 겁니다. 모범답안이 부실함을 판정하는 근거입니다. 답안지 확인하러 왔는데 이 답안보다 뭔가 빠진 부분이 있는데도 내가 최대한의 추론능력을 동원해서 맞는 걸로 채점한 경우 다시 엄격하게 틀린 걸로 재채점해도 여러분은 할 말 없는 겁니다. 충분한 대답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시험결과 및 족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2학기 증권시장과 투자분석 기말고사 결과 (2) | 2023.12.22 |
---|---|
2023년 2학기 경제금융수학 기말고사 결과 (10) | 2023.12.22 |
2023년 2학기 경제금융수학 중간고사 결과 (0) | 2023.10.25 |
2023년 1학기 금융투자사례연구 기말고사 결과 (2) | 2023.06.20 |
2023년 1학기 파생금융상품의 이해 기말고사 결과 (5) | 202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