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들은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약 30%정도 지방대 출신을 채용한다. 이른바 지역인재 할당제이다. 이 30%의 인원을 경상권, 호남권 등등 지역별로 나눠 채용하는데, 본사가 이전한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출신자들은 조금 더 뽑는다. 이걸 또 직렬별로 나눠보면, 우리 학부 학생들이 낼 수 있는 직렬의 채용인원은 공기업당 10명 이내이다. 이 10명 이내의 인원을 놓고 대구경북권 대학 출신들과 경쟁하는 형국이다. 비록 기업당 10명 이내이지만 우리나라 공기업은 300여개나 된다. 채용인원을 합치면 꽤 된다는 얘기다.
우리 학교는 대구경북권에서 2위의 위치에 있는 대학인데 왜 내 주변에는 제대로 도전하고 있는 학생들이 보이지 않는지 모르겠다. 경북대 출신들만 꺾으면 되지 않나? 경북대의 벽이 그렇게도 높아 보이는가? 한번 해보지도 않고 그냥 접는 것인가?
우리 학교는 대구경북권에서 2위의 위치에 있는 대학인데 왜 내 주변에는 제대로 도전하고 있는 학생들이 보이지 않는지 모르겠다. 경북대 출신들만 꺾으면 되지 않나? 경북대의 벽이 그렇게도 높아 보이는가? 한번 해보지도 않고 그냥 접는 것인가?
'가르치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밥약의 경제학 (0) | 2019.03.08 |
---|---|
대학에서 배운 전공지식을 쓰려면... (4) | 2019.02.25 |
바람 찬 흥남부두에~ (2) | 2019.02.05 |
이웃집 금융사기꾼 (2) | 2019.01.24 |
스카이뿐 아니라 공대도 취업시장에서 무너진다고? (0) | 2019.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