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르치는 이야기
분노의 각인
조승모
2018. 12. 5. 21:09
시험범위에서 질문할 게 있으면 질문을 1페이지내로 써서 제출하고 질문이 없으면 교수한테 하고 싶은 말 1페이지 써서 내라고 과제를 냈다. 제출만 하면 5점 준다고 공지했더니 황당한 사례가 몇 개 있어서 적어본다.
1. "한 학기 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딱 한줄 써서 냈다.
2. "질문 1. 시험범위가 어디부터 어디까지인가요? 질문 2. 다른 분반과 등급 따로 주시나요?" 이게 질문이란 말인가?
3. "질문: 시험 언제 보나요?" 휴...
4. 글씨가 과도하게 크다. 30포인트 쯤 되려나...
이런 학생들은 출석부에서 사진과 이름을 확인하게 된다. 아무리 학생들 얼굴이랑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이지만, 이런 황당한 경우에는 기억이 잘 될듯 싶다. 원래 사람의 기억이란 게 뭔가 특이한 점이 있거나 감정과 결부된 경험은 잘 기억하게 되어 있다.
"분노"처럼 강력한 감정과 함께 본인의 얼굴을 나한테 각인시키고 싶다면 이런 식으로 과제를 제출하면 된다. 물론 점수는 준다. 약속했으니까. 이런 식으로 얼굴을 익힌 학생이 벌써 몇명 된다. 휴...
1. "한 학기 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딱 한줄 써서 냈다.
2. "질문 1. 시험범위가 어디부터 어디까지인가요? 질문 2. 다른 분반과 등급 따로 주시나요?" 이게 질문이란 말인가?
3. "질문: 시험 언제 보나요?" 휴...
4. 글씨가 과도하게 크다. 30포인트 쯤 되려나...
이런 학생들은 출석부에서 사진과 이름을 확인하게 된다. 아무리 학생들 얼굴이랑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이지만, 이런 황당한 경우에는 기억이 잘 될듯 싶다. 원래 사람의 기억이란 게 뭔가 특이한 점이 있거나 감정과 결부된 경험은 잘 기억하게 되어 있다.
"분노"처럼 강력한 감정과 함께 본인의 얼굴을 나한테 각인시키고 싶다면 이런 식으로 과제를 제출하면 된다. 물론 점수는 준다. 약속했으니까. 이런 식으로 얼굴을 익힌 학생이 벌써 몇명 된다. 휴...